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우리들의 기적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제레스트리아 ==== 베로니카 성에서 사망한 인물은 녹색, 그 외의 인물은 흰색으로 표기. ||<-5><table align=center><table width=70%><bgcolor=#000000> '''{{{#white 제레스트리아}}}''' || ||<-5><bgcolor=#ffffff> {{{#!folding 펼치기 ▼ ||||||||||<:><#000000> '''{{{#white 왕족}}}''' |||||||||| || [[파일:veronica.jpg|width=100%]] || [[파일:alois.jpg|width=100%]] || [[파일:rolan.jpg|width=100%]] || ||<:><#DEF7E5> [[베로니카(우리들의 기적)|베로니카]] 왕녀 ||<:><#FFFFFF> 알로이스 왕태자 ||<:><#FFFFFF> 롤랑 왕자 || ||||||||||<:><#000000> '''{{{#white 근위기사}}}''' |||||||||| || [[파일:rida.jpg|width=100%]] || [[파일:unknown2.jpg|width=100%]] || ||<:><#DEF7E5> [[리다 라자라살레]] ||<:><#DEF7E5> ? || ||||||||||<:><#000000> '''{{{#white 견습기사}}}''' |||||||||| || [[파일:glen.jpg|width=100%]] || [[파일:bart.jpg|width=100%]] || [[파일:cotton.jpg|width=100%]] || [[파일:chesmond.jpg|width=100%]] || [[파일:aubri.jpg|width=100%]] || ||<width=20%><:><#DEF7E5> [[글렌 슈라이버]] ||<width=20%><:><#DEF7E5> [[바르트 벨바니아]] ||<width=20%><:><#DEF7E5> [[코튼 오르베]] ||<width=20%><:><#DEF7E5> 시스몬드 바르텔스 ||<width=20%><:><#DEF7E5> 오브리 비칸데르 || || [[파일:unknown3.jpg|width=100%]] || ||<:><#FF6666> ? || ||||||||||<:><#000000> '''{{{#white 시종}}}''' |||||||||| || [[파일:adel.jpg|width=100%]] || [[파일:cordelia.jpg|width=100%]] || [[파일:nina.jpg|width=100%]] || [[파일:dinah.jpg|width=100%]] || ||<:><#DEF7E5> 아델 올컷 ||<:><#DEF7E5> 코델리아 페인 ||<:><#DEF7E5> 니나 브셰 ||<:><#DEF7E5> 다이나 커울리 ||<:><#DEF7E5> 벤노 비고 || || [[파일:catherin.jpg|width=100%]] || [[파일:nico2.jpg|width=100%]] || [[파일:marianne.jpg|width=100%]] || ||<:><#DEF7E5> 캐서린 베트포드 ||<:><#FFFFFF> 니코 ||<:><#FFFFFF> 마리안느 올컷 || ||||||||||<:><#000000> '''{{{#white 병사}}}''' |||||||||| || [[파일:peter2.jpg|width=100%]] || [[파일:kurt2.jpg|width=100%]] || [[파일:egbert.jpg|width=100%]] || ||<:><#DEF7E5> 페터 아르세 ||<:><#DEF7E5> 쿠르트 ||<:><#DEF7E5> 에그버트 || ||||||||||<:><#000000> '''{{{#white 기타 인물}}}''' |||||||||| ||<:><#FFFFFF> 프레데릭 벨바니아 ||<:><#FFFFFF> 돌게르그 벨바니아 ||<:><#FFFFFF> 크리스토프 벨바니아 ||<:><#FFFFFF> 에밀 벨바니아 ||<:><#FFFFFF> 스텔라 슈라이버 || ||<:><#FFFFFF> 헤르베르트 라자라살레 ||<:><#FFFFFF> 디토마 알리팔드 ||<:><#DEF7E5> 손턴 알리팔드 ||<:><#DEF7E5> 리오그 알리팔드 ||}}} || * 왕족 * '''알로이스 왕태자''' 제레스트리아의 왕태자이자 베로니카의 셋째 오빠.[* 장남은 병사했다고 한다.] 언급만 되었을 뿐 직접 등장한 적은 없으며, 금주를 전쟁에 이용하는 것을 반대했다고 한다. * '''롤랑 왕자''' 베로니카의 둘째 오빠. 성에 살게 된 베로니카에게 꽃 향기가 나는 향수를 선물로 보내준다. 베로니카 남매 중 유일하게 왕비가 아닌 후궁의 자식었다고 하며 전생 당시 후계자자리를 두고 알로이스 세력과 롤랑의 세력이 대립하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다만, 롤랑이 왕위를 노렸던 이유는 당시 참모였던 돌게르그 벨바니아와 손턴 알리파드가 젊고 미숙한 알로이스를 왕위에 세워 자기들 입맛대로 이용하려 했기에 알로이스와 베로니카를 지키기위해서 였다고 한다.[* 참모였던 돌게르그와 손턴은 금주를 사용하려는 측이었기에 두 사람이 권력을 받으면 공물인 베로니카가 희생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 견습기사 * '''시스몬드 바르텔스''' [[메구로 쇼]]의 전생. 기사의 긍지를 중요히 여기는 정의감 넘치는 인물. 모스비그의 군대가 성으로 쳐들어오자 격분하여 오귀스탱과 콘라드에게 덤벼들었으나 곧바로 콘라드에게 제압당해 기절하였는데 나중에 베로니카와 리다에게 발견되었을 때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위로 형이 4명있었으나 넷째 형이 몸이 허약했다고 한다. 가문의 강력한 마법은 태어난 순서에서 4번째의 자식까지 권리가 있기때문에 권리만 가진체 침대를 벗어나지못하던 넷째는 자신이 죽으면 권리를 이어받을 시스몬드에게 신경질적으로 굴었다고 하며 결국 넷째 형이 죽으며 권리를 이어받았다고 한다. 133화에서 콘라드에게 당한뒤 뒤늦게 정신을 차렸고 탑으로 오르려고 계단을 오르려던 시종 벤노 비고를 발견하고 탑 위는 도망칠 곳이 없다며 안전한 곳으로 데려다주겠다고 제안했다가 벤노 비고에게 마법으로 살해되었다는게 밝혀진다. * '''오브리 비칸데르''' [[츠즈키 마코토]]의 전생. 소심해서 전쟁에 나가 공을 세우는 것보다는 안전한 삶을 원한 인물이라 코튼 등 동료 견습 기사들이 전쟁터가 아닌 후방의 성에 배속된 것을 불만스러워 할 때 홀로 만족스러워 했으며 이 때문에 핀잔도 좀 들었다. * '''?''' 이름 불명. 모스비그 본국의 군대가 쳐들어오자 뭐가 뭔지 모르는 상태에서 맞서 싸웠으나 모스비그의 기사 클래런스에 의해 사망했다. 검에 베여 죽었기 때문에 환생 불가. * '''[[글렌 슈라이버]]''' * '''[[바르트 벨바니아]]''' * '''[[코튼 오르베]]''' * 시종 * '''아델 올컷''' 하세베 안나의 전생. 수도원 시절부터 베로니카를 돌보던 마리안느의 딸로 베로니카가 성으로 옮겨가며 어머니와 맞바꿔 베로니카의 시녀가 되었다. 덕분에 어머니와 함께 한 시간은 얼마 안 되어 베로니카는 내심 미안하게 생각하고 있었다고. 돌벽 방으로 향하던 베로니카와 리다의 눈 앞에서 성벽길이 마법 폭격을 당한 것과 동시에 사망. * '''니나 브셰''' 이치노세 히나타의 전생. * '''코델리아 페인''' 에노모토 미키의 전생. 이전까지는 별다른 비중이나 이야깃거리가 없는 캐릭터였으나 전개가 후반으로 접어듦에 따라 외부 세력이 심어둔 첩자일 가능성이 높은 캐릭터로 급부상했다. 생전에는 말수도 적고 다른 시종들과 잘 어울리려 하지 않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101화에서 모스비그의 에반 왕자 세력이 심어둔 첩자로 밝혀졌으며, 뤼카를 죽이려다 거꾸로 살해당했다. {{{#!folding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본래 코델리아는 모스비그인 아버지와 제레스트리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로, 이 사실이 어머니가 제레스트리아인 남편과 결혼한 후 코델리아를 남편의 호적에 올리려다 교회에 의해 발각되었다. 이후 코델리아는 어머니에게 버림받고 지하 수감시설에서 짐승같은 취급을 받는 열악한 환경에서 방치되었다가 알렌 헬란도에 의해 구조된 후 모스비그인 아버지 밑에서 스파이 교육을 받았으며 금주를 탈취하는 임무를 위해 베로니카의 성에 공작원으로 파견되었던 것이다.}}} * '''벤노 비고''' 키쿠치 코이치의 전생. 얼굴이 공개되지 않았다. 환생한 전원이 벤노 비고의 얼굴을 떠올리지 못 한다는 게 밝혀지며 금주와 직간접적으로 깊게 연관된 인물이라는 것이 암시되었다. {{{#!folding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133화의 회상에 의하면 전쟁중 탑위로 올라가려는 것을 발견하고 안전한 곳으로 데려다 주겠다는 시스몬드를 마법으로 살해했으며 칼빈을 죽인 것도 다름 아닌 벤노였다. 사실 그의 정체는 교회에서 파견된 비밀 부대의 일원으로, 진짜 벤노 비고를 죽이고 그의 신원을 훔쳐서 성에 잠입한 것이다.}}} * '''다이나 커울리''' 아델, 니나, 코델리아보다 먼저 성에서 일하고 있었던 고참 시녀. 환생 여부는 불명. * '''캐서린 베트포드''' 다이나와 마찬가지로 다른 시녀들보다 먼저 성에서 일하고 있었던 시녀. 환생 여부는 불명. * '''마리안느 올컷''' 베로니카의 수도원 시절 시녀이자 아델의 어머니. 베로니카의 시녀 일을 하느라 딸과 떨어져 있었고 그녀가 시녀 일을 그만둠과 동시에 이번엔 아델이 시녀가 되었기에 딸과 함께 한 시간은 적다고 한다. 이 때문에 베로니카는 내심 미안해했고 딸을 잘 돌봐주고 싶었지만 결국 마리안느 곁으로 돌려보내지 못하고 전쟁 때 눈 앞에서 아델이 죽은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 '''니코''' 마리안느와 함께 수도원에서 베로니카의 시중을 들었던 시녀. 성장한 베로니카가 수도원을 떠나 라인츠베르그 성으로 가게 되자 펑펑 울었다. * 병사 * '''페터 아르세''' 제레스트리아 병사. 모스비그에서 온 시녀인 미미에게 호감을 품고 있었던 듯 하며 성이 쑥대밭이 되었을 때 제레스트리아 인의 귀걸이가 있으면 살 수 있다면서 자신의 귀걸이를 미미에게 주었다. 환생 여부는 불명. * '''쿠르트''' 제레스트리아 병사. 리다 라자라살레를 연모하고 있었으나 결국 본인에게 밝히지는 못한 채 사망했다. 환생 여부는 불명. * '''에그버트''' 후지치카 타쿠마의 전생. 제레스트리아 병사이며 쿠르트와 친해 그와 늘 함께 다녔다. * 기타 인물 * '''프레데릭 벨바니아''' 벨바니아 가의 당주이자 4형제와 글렌의 아버지.. 선혈을 담는 그릇으로 전쟁터에 팔려간 글렌의 어머니를 구한 정의로운 기사. 글렌의 어머니를 벨바니아 가의 사용인으로 들였다가 사랑에 빠져 글렌이 태어났다. 여기까지가 대외적으로 알려진 미담이지만 진실은 아니었다. 진상은 아래의 손턴 알리팔드 참조. * '''크리스토프 벨바니아''' 벨바니아 가의 장남. 동생인 돌게르그처럼 노골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역시 글렌의 존재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 '''돌게르그 벨바니아''' 제레스트리아의 참모. 바르트와 글렌의 형으로 벨바니아 가의 차남. 글렌을 동생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스텔라와 글렌을 증오해 프레데릭이 집을 비운사이 스텔라에게 누명으로 간통죄를 씌워 빈민가로 쫒아냈으며 15살도 안 된 글렌을 전쟁터로 보내버렸다. 이후 글렌이 패전하고 다쳐서 돌아오자 차라리 죽는 게 나았다며 폭언을 퍼붓었다. 유난히 스텔라 모자를 미워했던 이유는 스텔라가 오고 그의 어머니가 종종 우는 모습을 목격했기 때문인데 , 사실 그의 어머니는 스텔라의 진실을 알고 그녀의 처지가 너무 안타까워 종종 스텔라를 떠올리며 눈물을 흘렸던 것이고 프레데릭이 그에게 진실을 알려주지 못한 이유는 그가 하필이면 알리파드 가문과 사이좋게 지냈기 때문에 혹여라도 돌게르그를 통해 알리파드 가문이 사생아인 글렌의 존재를 알아차릴 것을 걱정했기 때문이다. 그 와중에 몸이 약했던 돌게르그의 어머니가 사망하자 스텔라가 명예로웠던 아버지를 홀리는 바람에 어머니가 심적으로 고통받다 죽었다 오해하게된다. 손턴 알리파드와 함께 아직 젊고 미숙한 왕태자인 일로이스를 다음 왕위에 세워 자기들 입맛대로 조종하려했고 금주를 사용하기 꺼렸던 제레스트리아 왕가가 알다라스 제국의 속국이 되려하자 손턴과 함께 금주를 사용해 알다라스와 싸우려던 모스비그와 손을 잡았다고 한다. 그러다 리오그 알리파드가 사고로 사망하면서 후계자가 없어진 손턴 알리파드가 글렌을 가문에 등재시킨 뒤 후계자로 입적할 준비를 하였고 이로인해 글렌의 출생의 비밀을 알게된 그는 손턴이 스텔라에게 저지른 행위에 대해 크게 분노하여 손턴 알리파드를 살해 후 더러운 알리파드 가문의 핏줄을 끊겠다며 글렌의 목숨마저 노렸다. 뤼카가 목격한 바에 의하면 착각하고 있던 것에 대한 수치심, 추잡한 남자인줄도 모르고 알리파드의 인간들과 오랫동안 함께했다는 것에서 오는 혐오감, 글렌이 돌아와 자기에게 복수할지도 모른다는 공포심이 옅보였다고 한다. 즉, 과거의 저지른 만행을 감당하지 못하고 뒤늦게 글렌에게 저지른 짓이 두려워 글렌에게 알리파드 가문의 핏줄이 흐른다는 억지 정당성을 만들어 죽이려 했던것으로 보인다. * '''에밀 벨바니아''' 벨바니아 가의 삼남. 워낙 병약하게 태어난 탓에 15세의 어린 나이에 요절했다. * '''스텔라 슈라이버''' 글렌의 어머니. 그녀가 하고 있던 목걸이는 [[바르트 벨바니아]]가 하고 다녔고 바르트가 중상을 입었을 때 글렌에게 넘겨줬다. 이후 환생한 [[히로키 유우]]가 비슷한 목걸이를 찾아 하고 다닌다. 병사하면서 글렌에게 출생의 진실을 말해준다. * '''손턴 알리팔드''' 제레스트리아의 참모이자 3대 가문인 알리팔드 가의 당주. 젊은 시절 제레스트리아 원정군이 마법을 쓰기 위한 선혈 탱크로 이용하던 스텔라를 겁탈하는 등 인격적으로 문제가 많은 인물이다.[*스포일러 이 일로 스텔라가 갖게 된 아이가 바로 글렌 슈라이버로, 글렌은 본래 프레데릭이 아닌 손턴의 아들이다. 리오그의 사후, 글렌을 후계자로 들이기위해 입적시켰으며 모스비그와 짜고 제레스트리아를 치려고 베로니카와 알로이스 왕태자가 금주를 악용하려한다라는 거짓명분을 만들었으며 글렌을 빼돌리기위해 글렌이 모스비그의 스파이라는 거짓 소문을 냈다.] 베로니카의 성이 함락되기 전 돌게르그에 의해 살해당했다고 한다. * '''리오그 알리팔드''' 손턴 알리팔드의 외동아들. 사관학교 시절 글렌, 바르트와 동기였으나 글렌에 대한 경멸감을 감추지 않고 항상 그를 멸시했다. 이후 글렌에게 벌어진 일을 생각해 볼 때 모종의 이유로 이른 나이에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자세한 내용은 글렌 슈라이버 항목 참조. 이후 뤼카의 증언을 통해 당시 갑작스러운 사고로 사망했다고 한다. * '''디토마 알리팔드''' 손턴의 아버지이자 선대 당주. 스텔라를 납치해 전쟁용 선혈 탱크로 이용하는 등 아들과 다를 바 없는 인물이다. * '''헤르베르트 라자라살레''' 라자라살레 가의 당주이자 리다의 아버지. 리오그에 의해 제레스트리아를 이끌어가는 주요 인물 중 하나로 거론되며 직접 등장한 적은 없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